(칼럼) 보청기 구입시 전문센터 선택요령 뉴스투데이 10월호

벨톤보청기 광명난청센터
2019-10-30
조회수 1276

난청이 있다면 -정순옥원장-


최근 청소년부터 노년층까지 난청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보청기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난청으로 인해 평소 대화에 지장을 초래한다면 이과적 질환이 없음을 확인하고 보청기 전문센터를 방문해야 한다. 이때 보청기센터 또는 청능재활센터의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 그 이유는 표준화되고 개개인에게 최적화된 청능재활 서비스로 일상생활에서 난청인의 의사소통 능력을 개선하고 보청기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정순옥원장


청능재활 서비스의 절차

청능재활 서비스의 절차를 간략하게 소개하면 그림과 같이 난청의 정도 및 종류를 확인하는 청각검사, 청각손실의 특징 및 사회생활을 고려한 보청기의 선택, 의사소통능력 및 만족도 개선을 위한 보청기의 적합 및 조절, 보청기의 기능이 최적화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보청기적합의 확인, 의사소통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청능훈련, 청력의 변화 및 보청기의 기능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사후관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청기센터 선택하기

난청인에게 위와 같은 청능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문 지식, 시설, 장비, 윤리 그리고 청능재활 업무에 대한 충분한 경험이 필요하다. 이러한 내용에 대해서는 한국산업기술표준(KS I 0562, 2018)에서 기술하고 있다. 따라서 보청기센터를 선택하고 방문하기 전에 다음의 몇 가지 확인해야 할 사항이 있다.


첫째, 보청기센터 근무자의 전문지식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청능사" 자격이 있는지를 확인하면 된다.

그 외에도 "청각학"을 전공하였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풍부한 임상경험과 청각전문 자격증을 갖춘 전문청능사(청능사자격검정원이 주관하는 자격검정시험에 합격하여 자격을 취득한 사람중 7년이상 임상경험자 또는 석사 5년이상자로서 청각장애인들의 청능평가 및 상담과 보청기, 인공와우의 평가를 통하여 재활, 훈련을 담당하는 사람)가 상주 하는지 확인한다.


둘째, 시설은 기본적으로 상담실, 청각검사실, 보청기적합실, 청능훈련실, 보청기점검실 등을 갖추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셋째, 장비는 청력검사기, 보청기적합 장비, 성능분석기 또는 실이측정기 등 전기음향 측정장비, 보청기 점검 장비를 보유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넷째, 윤리적인 측면은 보청기센터의 경영철학, 봉사활동, 청각관련 재능기부 등 지역사회에서의 역할 등을 살펴보면 확인이 가능하다.

위에서 기술한 사항에 대해서는 해당 보청기센터의 홈페이지를 살펴보면 확인이 가능하다.


뉴스투데이 칼럼 바로가기

http://www.ntoday.net/news/article.html?no=20842

뉴스투데이 김시동기자